위험성평가란?
관련근거
【산업안전보건법 제41조의2 위험성평가】
【고용노동부 고시 제2014-48호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】
위험성평가 인정
위험성평가 인정 대상사업장
위험성평가 인정 혜택
위험성평가 실시주체
위험성평가는 사업주가 주체가 되어
위험성평가 실시방법
위험성평가 흐름
사전준비 |
총괄평가담당(수립) 현장소장(승인) |
위험성평가 시스템 계획수립 구성원 및 근로자에게 현장 시스템 교육 |
위험성평가 실시 |
협력업체소장/반장 |
공종 위험요인 파악 위험성 추정, 감소대책 수립(위험성평가표 활용) |
파악된 자료 취합 |
평가담당자 |
위험성평가 자료 취합 |
위험성평가 회의 |
현장소장 관리감독자 평가담당자 협력업체소장/반장 |
현장 소장 - 2주 1회 실시 집중관리 대책 수립 및 시기, 조치자 결정 전회 미결사항 재검토 위험성평가 회의록 작성 |
안전교육 |
협력업체소장/반장 |
구성원에게 위험성평가 결과 전달교육 |
감소대책 실행/확인 |
현장소장 관리감독자 |
감소대책 수립과 교육실시의 실행결과 점검 |
안전점검 |
현장소장 관리감독자 |
유해위험요인에 대한 안전점검 |
Feed Back |
총괄평가담당자 |
미조치 사항 검토 후 Feed Back 위험성평가 회의시 재검토 |
공종 분류
위험성평가 인정
유해위험요인 파악
1.유해위험요인 도출 방법
2.유해위험요인 도출
3.유해위험요인의 주요대상
위험성 추정
□위험성평가(위험요인의 정량화) / 회사에 적합한 위험성평가(행렬, 곱셈, 덧셈 중 곱셈 사용)
위험성 평가 = 가능성(빈도) x 중대성(강도) |
---|
□재해 가능성과 중대성을 단계적으로 분류한 위험성 그룹
위 헙 성 평 가 |
구분 | 1 약간심각 |
2 심각 |
3 매우심각 |
---|---|---|---|---|
1낮음 | 1 | 2 | 3 | |
2보통 | 2 | 4 | 6 | |
3높은 | 3 | 6 | 9 |
감소대책 수립